2016년 12월 25일 천지갑산(462m) : 경북 안동시 길안면.
산행코스 : 송사리주차장 - 1봉 - 2봉- 3봉 - 4봉(천지갑산) -
5봉 - 6봉 - 모전석탑 - 송사리 주차장 하산완료.
산행시작 : 송사리주차장 09시 35분.
하산완료 : 송사리주차장 12시 30분.
(2시간 55분 소요 : 휴식시간포함)
09 : 35 송사리주차장 도착.
10 : 04 1 봉.
10 : 09 2 봉.
10 : 27 3 봉.
10 : 29 4 봉(천지갑산 정상).
10 : 54 5 봉.
11 : 07 6 봉.
11 : 31 모전석탑.
12 : 30 송사리주차장.
12 : 46 천지갑산가든 송년회.
▲ 09시 35분 : 송사리 주차장 도착,
▲ 현지의 천지갑산 등산안내도를 확인하고.
▲ 들머리.
▲ 모전석탑으로 내려오기로 하고
정상쪽으로 진행..
▲ 낮은산이라고 얕보다가는 큰코 다친다.
처음부터 급경사로 코가 닿을 정도고 낙엽길이 매우 미끄럽다.
▲ 급경사나 완경사나 거기서 거기다.
급경사길은 1봉을 거치지 않고 2봉으로 바로 치고 올라간다.
▲ 사람이나,, 나무나,,,
환경이 척박하면 스스로를 강하게 만들지 않으면 안되는가 보다..
▲ 10시 04분 : 천지갑산 1봉.
들머리에서 여기까지가 오르막 경사가 급한 길이다.
짧지만 쉽게 길을 내어 주지 않는다.
잡목으로 조망은 좋지 않다.
▲ 2봉은 능선 안부에서 왼쪽으로 살짝 벗어나 있어서
올라가 보기로 한다.
▲ 천지갑산의 봉우리 표지는 플라스틱판과 목판의
두가지로 되어 있다.
▲ 3봉 오르기직전의 천지갑산 최고의 전망대.
한반도를 비스무리하게 닮은 지형을
휘감아 도는 길안천의 수태극이 걸작이다.
▲ 천지갑산 3봉.
▲ 천지갑산(天地甲山) 정상...
천지간에 으뜸인 갑이라 하여 천지갑산이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산 이름만은 우리나라에서 으뜸중에 으뜸이다.
옛날에는 이 산을 관악봉 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송제마을에서 보면 흡사 옛날 선비들이 평상시에 머리에 쓰던
정자관(程子冠) 처럼 가운데 봉우리가 높고 양쪽 봉우리가 낮게 솟아있어
붙여진 이름인 듯 하며,,,
약 60여 년 전에 송사 간이학교의 교사인
"김두원"이라는 선생이 산세와 경치의 아름다움을 보고
제2금강이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으며 더 좋은 이름을 짓자고
마을 어른들과 상의하여 "천지갑산"이라는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천지갑산의 "갑(甲)은 육갑 중에 첫째를 이르는 말로,
기암절벽과 깨끗한 계곡물이 조화를 이루는 산세가
천지의 으뜸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 정상에는 묘 1기와 넓은 쉼터가 있어서
쉬어가기 좋은 곳이다.
▲ 10시 47분 : 연점산 갈림길..
모전석탑으로 하산.
모전석탑으로의 하산 길은 올라오는 길보다 난이도가
더 높고 위험하여 조심스럽게 내려가야 한다.
▲ 10시 54분 : 천지갑산 5봉.
▲ 5봉도 등로에서 벗어나 있지만
안 가볼 내가 아니다..
올라보니 오금이 저리는 아찔한 수직 절벽이다.
여름철 강바람이 너무 좋을듯...
▲ 5봉에서 내려다 본 송사1리 마을 전경.
▲ 겨울철의 모전석탑 하산길은,,
하루종일 햇볕이 들지 않는다.
▲ 5봉과 6봉 사이의 전망대..
▲ 구비구비 돌아가는 길안천과
기암과 노송의 절묘한 조화.
▲ 암벽구간의 생명줄,,,
▲ 누군가의 수고로움에 감사하며.....
▲ 11시 07분 : 천지갑산 6봉으로 오른다.
▲ 6봉에는 세그루의 고목이
저마다의 고고한 자태를 뽐낸다.
▲ 당겨본 길안천.
▲ 송사1리 마을을 병풍처럼 감싸고 있는 금학산.
▲ 6봉 뒤쪽의 희미한 등로를 따라 바위사이를 헤집고 들어 가니
쌓다만 돌탑이 덩그렇다..
▲ 바위손..
▲ 더 나아갈수 없는 절벽에서 돌아서 나온다.
▲ 6봉 하산길의 급경사 낙엽길.. 조심조심..
안내도 상에는 분명히 7봉까지 있는걸로 되어있는데
7봉은 보이지 않는다.
▲ 11시 31분 : 모전석탑(模塼石塔)
안동시 문화재 자료70호 이며.
확실한 건탑시기는 알 수 없으나
축조 양식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갑사(甲寺) 전설..
석탑이 있는 이곳에는 신라시대에 갑사라는 큰 절이 있었는데
절에 빈대가 많아서 승려가 빈대를 잡으려고 불을 놓다가
절이 다 타 버리자 승려 한명은 인근 용담사로 가고
다른 한명은 불국사로 갔다는 전설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래서 항간에는
"빈대 잡으려다 초가 삼간 다 태운다.." 라는 속담이 생겨 난 것이다.
▲ 모전석탑에서의 하산길은..
▲ 급경사에 아찔한 절벽구간으로
계속 내리막길에 경사가 급하고 미끄럽다.
부주의 하면 미끌어지기 십상이다.
▲ 송사리 전경.
송사리(松仕里)에는
천연기념물 174호인 소태나무가 유명하며.해마다 동제를 지내고 있다.
▲ 얼음 폭포가 보여..
▲ 당겨보니 건폭(乾瀑)으로 비올때 멋진 폭포가 될듯...
▲ 길안천 도착.
마지막 까지도 방심 할 수 없는 위험구간이다.
▲ 강건너에 천막집이 있어,,,
▲ 당겨보니 누군가가 살고 있는듯 하다.
▲ 철 난간이 설치되어 안전한듯 보이지만..
바위벽이 균열되어 봄철 해동기에는 조심해야 할 구간이다.
▲ 염려하던 일이 있었던가 보다..
바위가 굴러 떨어져 난간을 부수고
아래에는 부러진 철제 난간이 널부러져 있다.
▲ 비가 많이와서 길안천이 넘칠때 떠 내려온 나무 부스러기 들이
마치 나무단 처럼 가지런하게 쌓여 있다.
▲ 아침에 올라왔던 들머리계단..
▲ 나무다리 건너보러 내려간다.
▲ 물속의 바위와 수면이 비슷해서
흐르는 마찰에 찰랑찰랑 거리며 파장을 만들어 낸다.
▲ 12시 30분 : 들머리 하산완료.
▲ 차량으로 약 5분 거리인 송년회 장소로 이동.
▲ 12시 46분 : 천지깁산 가든 도착.
▲ 1에 동글배이 3개가 더해져
100회, 200회, 300회가 될때까지
뜻 깊은 성탄절에 축복 있을지어다..
▲ 먹고 마시고..
이제는 여흥의 시간으로...
년말이라 각종 행사로 바쁜 가수 <김용임>씨를
끈질긴 섭외끝에 거금을 들여 초대에 성공하니..
분위기는 한껏 고조되고
저마다의 숨은끼를 마음껏 발산하며
금년 산행의 마지막 뒷풀이를 기분좋게 즐겨본다.
▲ 길벗산악회 2016년 송년 산악회에
참석해주신 회원님들..모두모두 감사합니다..
기대에 어긋나지 않고
주신 은혜에 보답하겠습니다..
정유년에도 더욱 건강하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가는해의 아쉬움과 다가오는 새해의 설레임을 기대하며
다사다난했던 병신년(丙申年)의 산행추억을 앨범속으로 남긴다.
새해 정유년(丁酉年)에는 더욱 더 활기차고 신명나게
어느 산하를 걷고 있을 한해를
꿈꾸어 본다..
'산행기 > 경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99클럽과 함께한 김해 무척산.. 하늘..땅,,사람,,모두가 아름다웠다~.. (0) | 2017.02.12 |
---|---|
경남 사천의 와룡산,,,그 짙은 오리무중에서 길을 묻다.. (0) | 2017.02.06 |
2016년의 마지막 세번째 일요일은,, 팔공산에서,,, (0) | 2016.12.19 |
경남 합천 가야산 만물상에서 2016년 12월 둘째주 송년산행~... (0) | 2016.12.12 |
경남 언양 신불산 파래소폭포 트레킹.. (0) | 2016.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