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사 전경>

 

아직 겨울이라기엔 이른 늦가을이었다.

옷은 비록 남루했지만 용모가 예사롭지 않은 한 고구려인이 신라 땅

일선군(日善郡, 지금의 경북 선산)에 있는 부자 모례장자(毛禮長子)의 집을 찾아왔다.

『어떻게 저희 집에 오시게 되었는지요?』

모례장자는 행색과는 달리 용모가 순수한 낯선 객에게 점잖고 융숭하게 대하면서도

일말의 경계심을 늦추지 않았다.

『나는 묵호자(墨胡子)라는 고구려 승려입니다. 인연있는 땅이라 찾아왔으니

나를 이곳에 묵을 수 있도록 주선하여 주십시오.』

당시는 눌지왕(訥祗王, 재위417~458)때로서 신라에 불교가 공인되지 않은 때인지라

모례장자는 묵호자의 불법에 관한 설명이 쉽게 납득이 가지 않았다.

그러나 그는 전생부터의 인연이었는지 아무래도 낯선 객이 신비스럽고 큰 불도를 알고 있는

대인인 듯하여 지하에 밀실을 지어 편히 거처하게 했다.

 

이 무렵 신라 조정에서는 중국에서 의복과 함께 보내온 향의 이름과 쓰는 법을 몰라

사람을 시켜 나라 안을 두루 돌아다니며 알아보게 했다.

중국 양(梁)나라에서 신라 조정에 두 가지 예물을 보내 왔는데 하나는 의복(衣服)이고

다른 하나는 향내 나는 나무 토막이었다.

조정은 이 같은 선물에 대해 알지 못해 어찌 답신을 보내야 할 지 온통 걱정에 싸이게 되었다.

그러던 중 모례장자가 이 소식을 듣고 아도에게 물었더니 『그것은 백단향(白檀香)이나

자단향(紫檀香)같은 향목(香木)인데 그것을 잘게 쪼개 불을 사르면 향기로운 냄새가 풍깁니다.

이를 태우면서 정성이 신성한 곳에까지 이르도록 간곡히 축원하면 무슨 소원이든지

영험이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해 주었다. 모례장자는 조정에 들어가서

향목과 아도에 대한 사실을 소상하게 임금께 아뢰었다. 이것을 들은 임금과 신하는

크게 반가워하였고 양나라 사신에게 『의복과 향목을 보내주시어 잘 받았습니다.』라고

회신을 보내 나라의 망신을 겨우 면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 후 얼마가 지난 뒤 나라에서는 묵호자를 청하는 사신을 보내왔다.

『공주마마가 위독하옵니다. 백방으로 약을 쓰고 의원을 불러 치료를 했으나

전혀 효험이 없어 이렇게 모시러 왔사오니 어서 궁으로 함께 가주시지요.』

 

                                    <아도화상 동상>

 

불법을 펴기 위해 숨어서 때를 기다리던 묵호자는 때가 온 듯 선뜻 승낙하고 서라벌로 향했다.

묵호자는 눌지왕의 딸 성국공주(成國公主)가 누워 있는 방에 들어가 삼보의

위목(位目: 불,법,승 글자를 써서 붙인 패)을 써 붙이고 그 앞에 단(壇)을 차린 다음

촛불을 밝히고 그 옆에는 다기에 정한수를 떠놓고 향을 피워올려 기도하자

얼마 후 공주의 병은 씻은 듯이 나아 병석에서 일어나게 되었다.

눌지왕은 기뻐하며 묵호자에게 소원을 물었다.

『빈승에게는 아무것도 구하는 일이 없습니다.

다만 천경림(天鏡林)에 절을 세워서 불교를 널리 펴고 국가의 복을 비는 것을 바랄 뿐입니다.』

왕은 즉시 이를 허락하여 불사를 시작케 했다.

묵호자는 그때부터 숨겨 둔 불명 아도란 이름을 쓰기 시작했다.

 

아도화상의 어머니 고도령(高道寧)은 중국 위(魏)나라에서 온 사신 아굴마(阿掘摩)와

연정이 깊어 아도를 낳게 되었다. 그 후 아도가 다섯 살이 되자 고도령은 아도를 출가시켰다.

총명하여 어른들의 귀여움을 독차지하던 아도가 16세가 되던 해 어머니 고도령은

아들을 찾아와 모든 사연을 이야기하였다. 아도는 중국에 가서 아버지 아굴마를 만난 후

현창화상(玄彰和尙)의 문하에 들어가 3년간 공부한 후 19세때 고구려로 돌아왔다.

어머니 고도령은 아들을 만나 반가웠으나『신라땅에는 천경림을 비롯하여 7곳의

큰 가람터가 있으니 이는 모두 불전(佛前)의 인연지로서 앞으로 불법이 깊이 전해질 곳이다.

그곳에 가서 대교를 전하면 응당 네가 그 땅의 개조가 될 것이다.』 이렇게 말하며

아들을 다시 신라 땅으로 보냈는데 아도는 어머니의 이같은 당부를 잊지 않고

수행에 전력하며 불법을 폈던 것이었다.

 

그렇게 불법의 씨가 피어 날려고 하던 458년에 눌지왕이 세상을 뜨고 새 임금 자비왕이

등장하자 불법에 불만을 품고있던 무리들이 아도화상을 해치려 했다.

결국 아도는 제자들과 함께 다시 모례장자의 집으로 돌아왔다.

그들은 그곳에서 경을 가르치고 설법했다.

많은 신봉자가 따르는 가운데 낮에는 소와 양을 1천 마리씩 길렀다.

그렇게 5년의 세월이 흐른 뒤 아도화상은 행선지도 밝히지 않고 훌쩍 그곳을 떠났다.

모례장자가 가는 길을 물었으나 『나를 만나려거든 얼마 후 칡순이 내려올 것이니

칡순을 따라오시오.』라는 말을 남겼을 뿐이었다.

그 해 겨울. 과연 기이하게도 정월 엄동설한에 모래장자 집 문턱으로 칡순이 들어왔다.

모례장자는 그 줄기를 따라갔다. 그곳엔 아도화상이 있었으니 그곳이 바로 신라불교의

초전지인 지금의 도리사 터였다.

 

『잘 오셨소, 모례장자. 내 이곳에 절을 세우려 하니 이 망태기에 곡식 두말을 시주하시오.』

아도화상은 모례장자 앞에 작은 망태기를 내놓고 시주를 권했다.

모례장자는 기꺼이 승낙을 하고는 다시 집으로 내려와 곡식 두 말을 망태기에 부었으나

어인 일인지 망태기는 2말은 커녕 2섬을 부어도 차지 않았다.

결국 모례장자는 전 재산을 다 시주하여 절을 세웠다.

모례장자의 시주로 절을 다 지은 아도화상이 잠시 서라벌 나들이를 하고 돌아오는데

절이 세워진 태조산 밑에 때 아닌 복사꽃이 만개하여 눈이 부셨다.


아도화상은 이에 절 이름을 도리사(桃李寺)라 칭했고 마을 이름을 도개(桃開)마을이라 했다.

도리사에서는 1976년 경내 화엄석탑 및 담장 석축을 정비하다가 아도화상 석상을 발견했다.

같은 해 탑 해체 작업중 부처님 진신사리 1과가 출현해 전국 불자들이 구름처럼 몰려와 친견하는 등

세인들에게 화제가 됐다. 지금도 도리사 인근 마을에 가면 양과 소 천마리를 길렀던 곳이라 해서

양천골(羊千谷) 또는 우천골(牛千谷)이라 부르고, 도개동 웃마을에는 외양간이 있었다 해서

우실(牛室)이라 부른다.   

                     

또 모례장자의 집터는「모례장자터」 그리고 우물은 모례가정(毛禮家井) 또는

모례정(毛禮井)이라 불리는데 지금도 맑은 물이 샘솟고 있다.

마을에서는 긴 화강암으로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엇갈리게 짜 맞추어 놓았다.















               <모례정>

'기 타 > 한국불교의 전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궁에서 온 강아지(합천 해인사)~  (0) 2012.01.04

 

 

용궁에서 온 강아지

 

<합천·해인사(海印寺)>

 

 

80살이 넘은 늙은 내외가 가야산 깊은 골에 살고 있었다. 

자식이 없는 이들 부부는 화전을 일구고 나무 열매를 따 먹으면서

산새와 별을 벗 삼아 하루하루를 외롭게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아침을 먹고 도토리를 따러 나서는 이들 앞에 복실복실한 강아지 한마리가 사립문 안으로 들어섰다.

1년 내내 사람의 발길이 없는 깊은 산중이어서 좀 이상했으나 하도 귀여운 강아지인지라

「좋은 벗이 생겼다」 싶어 붙들어 키우기로 했다. 

노부부는 마치 자식 키우듯 정성을 쏟았고, 강아지는 날이 갈수록 무럭무럭 자랐다.

이렇게 어언 3년이 흘러 강아지는 큰 개로 성장했다.

 

 

꼭 만 3년이 되는 날 아침, 이 집에 이상한 일이 일어났다.

밥을 줘도 눈도 돌리지 않고 먹을 생각도 않던 개가 사람처럼 말을 하는 것이었다.

『저는 동해 용왕의 딸인데 그만 죄를 범해 이런 모습으로 인간세계에 왔읍니다.

다행히 할머니 할아버지의 보살핌으로 속죄의 3년을 잘 보내고 이제 다시 용궁으로 가게 됐읍니다.

두분의 은혜가 하해 같사온지라 수양 부모님으로 모실까 하옵니다.』

개가 사람이며 더구나 용왕의 딸이라니 놀랍고도 기쁜 일이었다.

『우리는 너를 비록 개지만 자식처럼 길러 깊은 정이 들었는데 어찌 부모 자식의 의를 맺지 않겠느냐?』

 

 

개는 이말에 꼬리를 흔들며 말을 이었다.

『제가 곧 용궁으로 돌아가 아버지 용왕님께 수양부모님의 은혜를 말씀드리면

우리 아버님께서 12사자를 보내 수양 아버님을 모셔 오게 할 것입니다.

용궁에서는 용궁선사로 모셔 극진한 대접을 할 것이며 저를 키워주신 보답으로

무엇이든 맘에 드는 물건을 가져 가시라고 할 것입니다.

그때 아무리 좋은 것이 있어도 모두 싫다 하시고 용왕 의자에 놓여 있는 

「海印」 이란 도장을 가져 오십시요.

 

이 도장은 나라의 옥새같은 것으로 세번을 똑똑 치고 원하는 물건을 말하면

뭐든지 다 나오는 신기한 물건입니다. 이것만 있으면 여생을 편히 사실 것입니다.』

말을 마친 개는 허공을 3번 뛰어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다.

노은은 꿈만 같았다.

 

 

이런 일이 있으뒤 얼마가 지나 보름달이 중천에 뜬 어느날 밤이었다.

별안간 사립문 밖에서 이상한 소리가 나더니 12마리 사자가 마당으로 들이닥쳤다.

『용왕께서 노인을 모셔 오랍니다. 시간이 바쁘오니 어서 가시지요.』

노인은 주저치 않고 따라나서 문밖에 세워 놓은 옥가마를 탔다.

사자들은 바람처럼 달렸다. 얼마 안 있어 가마는 찬란한 용궁에 도착했다.

산호기둥, 황금대들보, 추녀에 달린 호박구슬, 진주벽 등 형형색색의 보화들이 찬란히 빛나고 있었다.

 9채의 궁궐 모두가 이런 보물로 장식됐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크고 화려한

가운데의 궁전으로 노인은 안내 되었다. 노인은 그저 얼떨떨했다.

 

 

『아이구 수양 아버님 어서 오세요. 제가 바로 아버님께서 길러주신 강아지이옵니다.』

예쁜 공주가 버선발로 뛰어나오며 노인을 반긴다.

아름다운 풍악이 울리자 용왕이 옥좌에서 내려왔다.

『먼길에 오시느라 수고가 많으셨읍니다. 딸년을 3년이나 데리고 계셨다니

그 고마움 어찌 말로 다하겠읍니까.』

용상 넓은 자리에 용왕과 노인이 나란히 앉아 좌우 시녀들이 풍악에 맞춰 춤을 추고 음식상이 나왔다.

공주는 한시도 수양 아버지 곁을 떠나지 않고 금강저로 음식을 고루 집어 입에 넣어 주며

수양 어머님 문안과 함께 가야산의 지난날을 회상했다.

입에 들어만 가면 슬슬 녹는 산해진미의 음식 맛은 천하 일품이었다.

이렇게 용궁에서 지내기 한달. 노인의 풍채는 몰라보게 좋아졌다.

 

노인은 갑자기 부인 생각이 나서 돌아가고 싶었다.

『먼길 다시 오기도 어려운데 오신김에 조금만 더 쉬다 가시지요.』

『말씀은 감사하나 아내의 소식이 궁금하여 내일 떠나겠읍니다.』

『정 그렇다면 할 수 없군요. 떠나시기 전에 용궁의 보물을 구경하시다가

무엇이든 맘에 드는 것이 있으면 말씀 하십시요. 선물로 드리겠읍니다.』

노인은 불현듯 「海印」을 가져 가라던 공주의 말이 떠올랐다.

보물 창고에는 물건들이 가득가득 쌓여 있었다.

 

 

순금의 왕관, 금강석 화로, 옥가마, 산호초피리, 은구슬 말 등 진귀한 보물을 보고도

구경만 할뿐 달라지를 않으니 용왕은 이상했다. 구경이 다 끝나갈 무렵

노인은 까만 쇠조각처럼 생긴 海印를 가리켰다.

『용왕님, 미천한 사람에게 눈부신 보배는 어울리지 않을 것 같사오니

저것이나 기념으로 가져 가겠읍니다.』

 

 

노인의 이말에 용왕은 안색이 새파랗게 질렸다. 분명 귀중한 물건임이 틀림없었다.

그러나 용왕은 어쩔 도리가 없었다.

 

 

『허 참! 그것은 이 용궁의 옥새로써 정녕 소중한 것이외다.

허나 무엇이든 드린다고 약속했으니 가져 가십시요.

잘 보관했다가 후일 지상에 절을 세우면 많은 중생을 건질 것이옵니다.』

용왕은 해인을 집어 황금보자기에 정성껏 싸서 노인에게 줬다.

이튿날 노인은 용궁을 떠나왔다. 용왕부부는 九重 대문밖까지 전송했고

공주는 玉가마까지 따라와 작별의 눈물을 흘렸다.

『수양 아버님 부디 안녕히 가세요. 용궁과 인간세계는 서로 다르니

이제 다시는 뵈올 수가 없겠군요. 부디 「해인」을 잘 간직하시어 편히 사세요.

그것으로 은혜의 만분의 일이라도 보답되길…』

 

공주는 목이 메어 말끝을 흐렸다. 노인도 이별의 아쉬움을 이기지 못한 채 가야산에 도착했다.

노인은 아내에게 용궁 이야기를 자세히 들려주고 해인을 세번 두들겼다.

『내가 먹던 용궁 음식 나오너라.』

주문과 함께 산해진미의 음식상이 방안에 나타났다. 내외는 기뻐 어쩔줄 몰랐다.

뭐든지 안되는 것이 없었다.

 

 

이렇게 편히 오래오래 살던 내외는 죽을 나이가 되어 절을 지었으니

그 절이 바로 지금의 합천 해인사다.

노인들은 죽게 되자 자식이 없어 이 「해인」은 해인사에서 보관시켰으며

이 전설에 따라 절 이름을 <해인사>라 불렀다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