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09월 03일.
성주봉(891m) 운달산(1097m)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산행코스 : 당포2리복지회관-성주사-수리봉-성주봉-토굴-
운달산-통천문-화장암-김룡사-일주문주차장 하산완료
산행시작 : 당포2리복지회관 09시 38분,
산행거리 : 약10.2km
하산완료 : 김룡사일주문 주차장 16시 17분
소요시간 : 6시간 55분소요(점심 및 휴식시간포함)
09 : 38 당포2리복지회관 도착.
09 : 57 성주사.
10 : 41 수리봉.
12 : 18 성주봉 정상.
13 : 28 토굴 도착.
14 : 24 운달산 정상.
14 : 46 통천문.
15 : 44 화장암.
16 : 07 김룡사.
16 : 17 김룡사일주문 주차장 도착 하산완료.
▲ 09시 38분 : 문경읍 당포2리 도착.
성주봉을 오른지가 10년도 넘은것 같고
산행 내내 밧줄만타서 어깨가 뻐근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한 성주봉이다.
▲ 당포리 느티나무 숲.
▲ 수리봉과 성주봉.
▲ 수리봉.
▲ 안동권씨 사당.
▲ 부추꽃.
▲ 수리봉을 올려다 보니
한무리의 등산객들이 대슬랩을 오르고 있다.
▲ 09시 57분 : 성주사.
성주봉 산행 들머리는 성주사 대웅전 옆으로 지나가면..
▲ 대웅전 바로뒤에 돌탑이 있고..
▲ 깔끔하고 친절한 이정표를 따라서..
▲ 6~7분 올라서면 잘 만들어진 데크계단.
▲ 당포리 마을 전경.
당포리는 1,670년경에 마을이 들어섰고,
고주부사(高州府使)가 이 마을에 처음 서당을 짓고
당포(唐浦)라 이름 지었다고 전해진다.
▲ 오른쪽으로는
이화령으로 연결되는 백두대간상의
황학산 백화산이 달려간다.
▲ 수리봉 대슬랩구간.
보기에는 가팔라보여도 바위가 미끄럽지 않아서
로프를 잡지않고도 올라갈수가 있다.
▲ 꼬리 진달래.
산림청 보존식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으며
국외 반출시 반드시 승인을 받아야 하는 귀중한 우리의 자원이다.
▲ 대슬랩너머로 주흘산이 빼꼼히 내다본다.
▲ 운달산에서 이어지는 조항령과 활공장.
활공장이라 하니
구례 오산이 생각난다.
2012년 4월 8일
전남 구례 오산의 사성암 오름길에서..
활공장 안내표지를 보고
뒤따라 오던 산악회 아줌씨 왈...
참말로 얄궂다...
넓은땅 놔두고 하필이모 산꼭대기에 활공장을 왜 지어 놓았노?,,
ㅋㅋㅋㅋㅋㅋㅋ
ㅎㅎㅎㅎㅎ~
▲ 대슬랩구간이 끝나는 지점에
요염(?)하게 앉아 있는 인어송(人魚松).
▲ 그저.. 좋아서 헤벌레~...
저 손좀 보소,, 슬그머니.. 성희롱을...ㅋㅋㅋ~
▲ 이산에는 꼬리진달래가 엄청많다.
▲ 최근에 조성된 신북천 댐.
그리고.. 포암산
그림이다.
▲ 주흘산이 손에 잡힐듯...
▲ 앗!~ 이럴수가..
6월 중순부터 피기 시작하여 겨우 20일 정도만 피기 때문에
만나기 어렵고 이 시기만 지나면 알아보지 못하고 지나치기 쉽다는 꼬리진달래를 만났다...
▲ 야등자들을 위한 솔라등.
▲ 10시 41분 : 수리봉 정상.
▲ 조선시대 문인으로 알려진 권섭(1671~1759)선생이
당포리에 거주할 당시에 제작한 지도에
취봉(鷲峯)으로 기록되어 있다. 취(鷲)는 수리취다.
▲ 신북천 댐이 우리나라 지도를
거꾸로 놓고 보는것 같다.
▲ 진달래과에 속하는 키가 1~2m까지 자라는 상록 관목이다.
한방에서는 꽃과 잎을 말린 것을 조산백(照山白)이라 하여
기관지염을 치료하거나 지혈제 원료로 쓴다.
▲ 가야할 성주봉.
▲ 꽤나 가파른 밧줄 구간을 1차 통과.
▲ 밧줄구간을 내려와서 다시 치고 오르는 곳에..
금방이라도 무너져 내릴듯한 바위.. 그러나 10년전의
그날 그모습으로 아직도 아슬아슬이다.
▲ 등로는 잠시 느긋해진다..
▲ 어수리.
▲ 또다시 바위길..
▲ 작은 봉 하나를 넘어서면..
▲ 바닥이 보이지 않는 완전 직벽밧줄구간..
▲ 산에 와서 집에 있는 "엄마야~"를 찾는 아짐씨들..
건강한 삶을 위해 산에 왔으면서 발발 떨며
"힘들고 겁나 죽겠다.." 고 하는 고소공포증의 아자씨들..
사람이 많으면 꼭 한사람씩 있다..
기다림은 길어지지만..
차근차근 조심조심 안전이 제일이다..
▲ 밧줄을 내리자 말자 건너편의 저곳을 오른다.
▲ 길어지는 기다림에..
▲ 싸리꽃도 담아보고..
▲ "엄마"를 찾지 않는 용감한 아짐씨를 보고
위에서 순서를 기다리는 아저씨들이
"우와!~~ 너무 잘내려 간다..저 아지매 산악회 가고 싶다.."며
응원의 환호를 보낸다
밧줄하니 잘타니
회원확보도 되고 팬도 생기고..ㅎㅎ~
▲ 조금전에 기다리던 건너편.
▲ 연속으로 이어지는 밧줄구간.
▲ 그림이 좋아서..
한손에 밧줄잡고 한손에 카메라..
▲ 올라서면 또 밧줄..
▲ 김연아 송..
춤추는 소나무.
▲ 지나온 암릉길.
수리봉이 꼬랑지처럼 치켜들고 있다.
▲ 벌개미취.
▲ 12시 18분 : 성주봉.
우람한 정상석..
마을주민들이 신성시 여겨왔고
특히 신주처럼 신성시 여긴데서 성주봉이라 하고.
기세 등등한 장군이 자리를 잡고 버티고 서 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서
이곳 당포리 일대 주민들은 성주봉을
흔히들 ‘장군봉’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당겨본 공덕산 방향.
▲ 성주봉 바로 아래 시원한 바람길이 좋은 곳에서
운달산을 바라보며 마음에 점을 찍는다.
▲ 최근에 만든듯한 데크.
▲ 10년전에 힘들게 지나갔던 구간인데..
계단 아래를 보니 통나무다리가 옛날 그대로다.
▲ 운달산 2km..
지치게 만드는 마의 구간이다.
▲ 흰진범.
▲ 13시 28분 : 자연 석굴.
▲ 비박하기에 안성마춤이다.
▲ 삽주.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삽주의 뿌리
혹은 뿌리줄기를 칭하는 말이다.
약효가 있어 한방에서는
삽주뿌리를 백출(白朮)이라는 약초로 사용하고 있다.
허균의 임노인 양생설에 보면 강원도 지방에 사는 한 노인이
나이가 102살 인데도 불구하고 살결은 비단결 같고,
얼굴에서는 잘 익은 대추 빛이 나고,
귀와 눈도 어두워지지 않았으며, 기력이 청년과 같아서
비법을 물었더니 젊어서부터 꾸준히 먹은
삽주뿌리 때문이라는 대목이 있다.
▲ 14시 24분 : 운달산 정상.
아래와 같이 2011년에는 여기에 정상석이 있었는데
무슨 연유에서인지 지금은 옮겨져 있다.
▲ 2011년의 운달산 정상.
▲ 전망대에서 바라본 단산능선에.
활공장이 보인다.
▲ 양탄자처럼 깔려 있는 사초길.
▲ 14시 33분 : 폐헬기장.
▲ 14시 46분 : 통천문..
▲ 15시 44분 : 화장암.
2011년에는 거의 폐허가 된 절이었는데..
나중에 알아보니 노스님 한분이 두문불출 하고
혼자서 득도에 정진하신다고 했는데
텃밭에 사다리가 놓여 있는걸 보아서는
지금도 누군가가 계신가 보다..
▲ 화장암(華藏庵).
원래 이름은 중암(中庵)이었다가
영조 34년(1758년)에 백련화상이 중건하면서
화장암으로 개칭했다.
화장암의 화장(華藏)은 화장세계로서
비로자나불이 도를 이룬곳이라고 한다.
세상에 없는 것이 없는 모든 물건을 간직하고 있다고...
지금은..
너무나 초라하다.
▲ 장구목에서 내려오는길과 합쳐진다.
▲ 대성암은 뒷쪽사립문을 닫아 놓아서
그냥 패스.. 지금쯤 마당에 상사화가 활짝일텐데
못보아서 아쉽다.
▲ 여여교(如如橋)를 건너 가면
비구니 사찰인 대성암으로 가는길이다..
여여(如如)란..금강경의 게송 중에 ‘불취어상 여여부동(不取於相 如如不動)’이라고 해서
여여부동(如如不動)은 마음이 주변 상황에 자극받지 않고
늘,,한결같이 원만하고 자유로운 것을 말한다.
▲ 김룡사 가는길의 가문비나무.
불법을 수호하는 신장같은 가문비나무가 양 옆으로 도열해 있는 모습이
하늘로 뻗은 기상은 모든 번뇌와 욕망을 후려치는 것 같이 서늘하다.
▲ 눈괴불주머니.
▲ 오미자.
▲ 16시 07분 : 김룡사 보장문.
▲ 김룡사는
일제강점기에는 31본산의 하나로 경북 북부 일대의 45말사를 거느렸으나
이제는 직지사가 본사가 되어 그 말사가 되었고
1997년 12월 말에 큰 불이 나서 절집은 물론
주변의 송림까지 타버렸다고 한다.
▲ 사대천왕상.
신장은 대개가 나무로 조각되어 있는데.
대리석으로 되어있고, 사람의 손끝 작품이 아니라 첨단 기계로 만들었다.
흥미를 끄는 문구가 눈에 들어 온다..
서방 광목천왕(廣目天王)이라 하지 않고
천왕을<하느님>이라고 표기 했다..
사찰에서 <하느님>이라는 용어를 쓰니
새롭게 다가 온다..
▲ 사대천왕상.
오른쪽의 북방 다문천왕 (多聞天王)도 다문<하느님>으로...
사대천왕은 사찰을 지키고 나쁜 귀신을 쫒기 위해서..
동서남북을 지키는 수문장인 신장(神將)을
<하느님>과 동급(?)이라고 표기 한 것 은,,
예외로 느껴진다.
나는,,
특정 종교를 가지고 있지도 않고 문외한 이지만,,
우리가 어릴때부터 듣고 배운 절대자 <하느님>을,,,
귀신이나 쫒는 신장으로 만들어 부처님 도량을
수호하는 수호신 정도라니..
▲ 김룡사 대웅전.
신라 진평왕 10년인 588년에 운달조사(蕓達祖師)가
운달산 자락에 절을 창건하고 <운봉사>라고 이름 지은 것이
김룡사의 전신이라고 하며...
사찰 이름이 김룡사로 개칭된 데에는 여러 전설이 전해져 오는데.
그 중 한 가지는 김씨 성을 가진 사람이 죄를 지어
운봉사 아래에서 숨어 살면서 불전에 참회 하였고.
그 후, 아들을 낳아 이름을 김용(金龍)으로 지었는데,
이때부터 가문이 부유해져 마을 이름이 김룡리라 불렀으며
운봉사도 김룡사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 E.T 바위.
▲ 김룡사 노주석.
노주석은 부처의 불법을 밝히는 석등과는 달리
마당에 불을 피워 올려놓는 댓돌이라고 한다.
▲ 16시 17분 : 김룡사 일주문 주차장..하산완료.
▲ 눈괴불주머니.
꽃말은..보물주머니,,비밀.
▲ 누린내풀.
냄새가 고약한 누린내풀은 향이 좋지 않기 때문에
집과 멀리 떨어진 화단에 심고 가꾸는 편이다.
▲ 뱀딸기.
▲ 일주문.
▲ 운달산 김룡사 일주문,,
위에는 홍하문(紅霞門)이라는 현판이 따로 있다.
홍하(紅霞)는 해 주위에 보이는 붉은 노을..이라는 뜻이며.
<붉은 노을은 푸른바다를 꿰뚫는다>는 뜻의
홍하천벽해(紅霞穿碧海)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홍하문이란
불국토(佛國土)인 부처님 세계로 들어감을 상징하는 문이다.
두개의 편액은 독립운동가인 동농 김가진(1846 ~ 1922) 글 이라고 한다.
[참고] 김가진은 일제강점기때 대동단의 총재 및 고문이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으로 활동하셨던 분이다.
두 기둥의 세로에는...
입차문내 막존지해(入此門內 幕存知解),,,
이 문에 들어오거던 안다 하는 것을 버려라...
무해공기 대도성만(無解空器 大道成滿),,,,,,,
비우고 빈,, 그릇에 큰 도가 가득 차리라...
신성한 사찰에 들어서기 전에
세속의 번뇌로 흐트러진 마음을 하나로 모아
진리의 세계로 향하라는 의미인것 같다.
'산행기 > 경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의 젖줄 금호강 가는길....... (0) | 2017.10.07 |
---|---|
추석 다음날의 대구시 범물동 대덕산 / 용지봉~ (0) | 2017.10.05 |
휴가 둘째날.. 안동 경북도청, 부용대, 무섬마을외나무다리~.. (0) | 2017.07.31 |
휴가 첫째날...경북 예천,, 우망리쌍절암생태숲길, 삼강주막~. (0) | 2017.07.31 |
경북 봉화 축융봉,, 사미정계곡 ~.. (0) | 2017.07.24 |